농촌빈집정보센터 확인하기

반응형

여러 지방 농촌농가 지자체에서는 지역 곳곳에 보이는 농촌 빈집들을 그냥 두게 되면 치안이나 미관상에 좋지 않아 빈집 매매 정책을 많이 하고 있는데요. 제주도에서는 농어촌 빈집과 유휴 토지에 기업을 유치하도록 하거나 귀농,귀촌을 하고 싶어하는자들에게 농촌빈집을 중개하거나 임대하는등 여러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농촌빈집정보센터

농촌빈집정보센터

각 지역별로 농촌빈집정보센터를 운영하면서 빈집매매나 전세,임대를 두려고 몇년전부터 준비해왔는데요. 이런 지역별 농촌빈집을 한눈에 볼수 있는 홈페이지가 한국토지정보공사의 공가랑홈페이지(gongga.lx.or.kr)입니다.

 

 

공가랑은 한국토지정보공사에서 만든 홈페이지로 전국 빈집을 체계적으로 현황등을 관리하려고 만든 정보시스템입니다.공가랑에서 농촌빈집정보와 내가 팔고 싶은 빈집 매매정보,전세정보,월세정보도 등록할수 있습니다.

농촌빈집정보센터

농촌빈집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빈집정보를 지도나 상세조회를 통해 확인할수 있습니다.

 

시골 빈집매매(빈집정보센터)

농촌빈집정보센터

이렇게 최근 빈집정보와 가격순,면적순으로도 볼수 있으며 사진으로도 미리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원하는 지역이 강원도,경기도,원주,양양,이천,서산시,태안,서울,충남,충청도,옥천군,홍천,담양등 전국 시골지역의 빈집정보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농촌빈집정보센터

지도에서 원하는 지역 근방의 빈집을 한눈에 확인할수 있습니다.

매매뿐만아니라 전세와 월세도 있는데요. 단독주택가격이 500만원이길래 좀 신기해하기도 했습니다.

아무래도 시골 주변 인프라가 발전한게 아니다보니 저정도 가격이 나올수 있겠다 싶네요.

 

 

강원도는 안동,문경,삼척,원주시,여주시,춘천,강릉,청주등에 곳곳에 빈집매매가 보이네요. 

주택뿐만아니라 아파트나 빌라의 빈집 매물도 확인할수 있습니다.

농촌빈집정보센터

좀더 매물을 상세 보기를 클릭하면 건축물정보와 토지대장정보,사업지구지정정보등을 볼수 있습니다.

토지 지목과 면적,토지이동사유가 어던지 소유구분명이 개인인지 법인인지, 용적률과 건평률이 어느정도 대략적인 정보를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농어촌 빈집 정보센터 행자부 확인하기

농촌빈집정보센터

간편조회를 통해 원하는 지역의 매물 리스트를 간단하게 보고 시세파악을 해보는것도 좋은데요.

김제,전주,정읍,군산,함안,사천,하동,함양,합천,창년,거창,경주,청도,김천,구미,영주,문경,청송,해남,무안,담양,구례,순천,천안,아산 등 전국 빈집매물을 선택해 리스트로 볼수 있습니다.

 

농촌빈집정보센터

원하는 지역의 농촌빈집정보를 좀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각 지자체의 농촌빈집정보 홈페이지로 접속해 확인할수도 있습니다.

매달 지자체에서 농촌빈집현황 리스트를 올리는곳도 있습니다.

 

 

물론 소유주 매매나 임대 의향을 반영한게 아니고 도시건축과에서 소유주 인적사항을 알려줄수는 없지만 어느정도 현황파악용도로는 좋습니다.

농촌빈집정보센터

2019년 기준으로 농촌 빈집현황이 약 6만여가구라고 하며 매년 조사결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불론 큰 대도시 지역은 빈집이 적지만 강원도나 충묵,전북,전남,경북,경남같은 농어촌 지역이 많은 곳은 빈집이 증가하는걸 볼수 있습니다.

 

농가주택 표준설계도 다운로드(무료, 건축비,도면)

 

농가주택 표준설계도 다운로드(무료, 건축비,도면)

은퇴시기가 다가오시거나 귀농귀촌 하시는분들중 농촌,어촌에서 새로운 터를 잡고 새로운 주택 건설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주택을 설계하고 시공해 건축하는게 쉬운일이 아니고

governa.tistory.com

농촌사랑상품권 사용처(농협상품권 가맹점) 확인하기

 

농촌사랑상품권 사용처(농협상품권 가맹점) 확인하기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상품권이 많습니다. 지역경제를 살리기위한 지역경제 상품권,백화점상품권,구두금강제화 상품권 등 그리고 그중 농민,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농협에서 발행하고 있는

kimjeje.tistory.com

농산물 시세 조회 한눈에 확인 바로가기

 

농산물 시세 조회 한눈에 확인 바로가기

소비자에게 유통되기까지의 농산물 시세가 적절히 형성되었는지 궁금할때가 많습니다. 유통업체에서 중간에 어느정도 가져가는지, 농부분들에게는 얼마나 돌아가는지 의문이 들어 농산물 시

kimjeje.tistory.com

 

반응형